티스토리 뷰
Elasticsearch 설치
- ubuntu 로그인
wget -qO -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 | sudo apt-key add -
입력sudo apt-get install apt-transport-https
입력echo "deb https://artifacts.elastic.co/packages/7.x/apt stable main" | sudo tee -a /etc/apt/sources.list.d/elastic-7.x.list
입력sudo apt-get update && sudo apt-get install elasticsearch
입력
Elasticsearch 구성
sudo vim /etc/elasticsearch/elasticsearch.yml
로 들어간다.node.name
이 적힌 곳으로 이동하고 주석을 지워준다.network.host
로 이동해서 주석을 지우고,0.0.0.0
으로 설정한다.discovery.seed_hosts
로 이동해서 주석을 지우고,["127.0.0.1"]
로 변경한다.cluster.initial_master_nodes
로 이동해서 주석을 지우고node-1
만 남겨놓는다.
Elasticsearch 실행
sudo /bin/systemctl daemon-reload
sudo /bin/systemctl enable elasticsearch.service
sudo /bin/systemctl start elasticsearch.service
이렇게 설정하면 가상머신을 실행할 때 마다 elasticsearch가 자동으로 실행된다. 보통 실행까지 1~2분정도가 소요되며,curl -XGET 127.0.0.1:9200
을 통해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. 만약 실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에러 메세지를 프린트한다.
'Data Engineering > Elasticsear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lasticsearch] Section 3. Elasticsearch를 사용한 검색 (0) | 2022.11.23 |
---|---|
[Elasticsearch] 데이터 매핑 및 색인화 - 2. 동시성, Analyzer, Flattened, Mapping Exception (0) | 2022.11.22 |
[Elasticsearch] Data 매핑 및 색인화 - 1 (0) | 2022.11.22 |
Elasticsearch 기본 (0) | 2022.11.15 |
Elasticsearch 개요 (0) | 2022.11.15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qoop
- HDFS
- logstash
- 네트워크
- oozie
- Python
- Algorithm
- cka
- Espher
- OS
- kafka
- mahout
- heapq
- DP
- 이코테
- Elasticsearch
- kubernetes
- BOJ
- DFS
- elasticsaerch
- 백준
- 빅데이터를지탱하는기술
- CS
- 프로그래머스
- 파이썬
- GROK
- CSAPP
- 빅데이터
- Hadoop
- Flutter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